이동통신- 제1시게대 ~ 제2.5세대
1. 이동통신 [ Mobile Telecommunication ]
: 항공기나 선박, 열차, 자동차처럼 움직이는 대상과 일반 전화사이나 이동하는 물체 상호 간에 발생하는 무선통신 ( 이동체통신 )
2. 2.5세대
: 셀룰러 이동통신, 무선전화, 무선호출 등의 경계가 2.5세대 이후부터 사라졌다.
3. 셀룰러 이동통신 [ Cellular ]
: 서비스 지역을 작은 구역인 셀[ cell ] 여러 개로 나누는 방식
: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과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
3.1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
- 전체 서비스 지역을 소규모의 서비스 영역인 셀로 분할한 후 각 셀에서 사용한 무선 채널 할당
- 하나 이상의 셀에 기지국[BS]를 두고, 이 기지국을 이동통신교환기[BSC]와 연결
- 각 셀에 설치된 무선지기국[Cell Site]은 교환기에서 집중 제어
- 교환기는 공중 교환 전화망[PSTN]으로 연결
- 모든 셀은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서로 인접한 셀끼리는 동일 주파수 사용 불가
- 가입자는 셀을 이동하더라도 주파수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통화 유지 가능
- 아날로그 셀룰러시스템의 주파수 재활용 기술 [ FDMA ]
: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사용
: 주파수 분할 다중화 [ FDM ]는 전송로 대역폭 하나를 작은 대역폭 여러 개로 분할하여 동시에 많은 단말기를 사 용하는 방식
: 즉, 똑 같은 시간에 채널별로 다른 주파수를 할당하여 정보를 전송
3.2 디지털 셀룰러시스템
- 이동통신의 구성요소
: 이동단말기, 기지국, 이동통신교환기, 홈 위치등록기, 방문자 위치등록기 등
: SS No.7 공통선 신호망을 사용해 제어 신호를 교환
: 관할 등록 지역[RA]인 셀로 나누어 무선 채널 효율적 사용
: 하나 이상의 셀에 기지국을 두고 각 기지국을 하나의 이동통신교환기와 연결
: 이동통신교환기에는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 [ 방문자/홈 위치등록기 ]
- 이동 단말기 [ MT , Mobile Terminal ]
: 이동국, 모든 이동체에 설치된 통신 단말기
: 가입자는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
- 기지국 [ BS, Base Station ]
: 이동국과 교환국 중간에서 이동국과의 무선 전송을 담당
: 안테나, 기지국 무선 송수신기, 제어 부분, 전원 장치 등으로 구성
- 이동통신교환기 [ MSC, Mobile Switching Center , MTSO ]
: 이동통신망, 일반공중망 연결 , 착발 신호 처리, 기지국 감시 및 제어
: 공중 전화망의 시내 교환기와 연결
: 이동 통신 가입자의 위치 검출, 핸드 오버, 가입자 상호 간의 정보 교환
- 홈 위치 등록기 [ HLR , Home Location Register ]
: 이동단말기의 가입자 정보와 위치 정보 등을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 가입자 정보가 들어있고, 하나의 센터 형식으로 동작, 중앙 집중 방식
- 방문자 위치 등록기 [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
: 이동단말기의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 운용 보존국 [ OMC, 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 ]
: 이동통신의 요소를 운용, 유지 보존하는 기능을 담당
3.3 이동통신 기지국의 서비스 범위 확대 방법
n 저 잡음 수신기 사용
n 기지국의 위치를 적절한 곳에 선정
n 기지국의 안테나 높이 높인다.
n 중계기 사용, 중계기 등을 사용해 전파 음영 지역 해소
n 지형에 맞는 안테나 사용
n 기지국의 수신 안테나에 다이버시티 방식을 사용
n 이득이 높은 지향성 안테나 사용, 기지국의 송신 출력 증가
3.4 핸드오프 [ = 핸드오버 ]
: 다른 셀로 이동할 때 현재 통화 채널을 자동으로 전환해주는 기술
: 즉, 이동국이 한 셀에서 다른 셀로 이동할 때 현재의 통화채널을 새로 들어가는 기지국의 통화 채널로 자동 전화해 주 어 통화를 지속 가능하게 한다.
- Soft Hand off : 셀 간의 핸드 오프
- Softer Hand off : 동일한 기지국 내 다른 섹터 간의 핸드 오프
- Hard Hand off : 이동국이 한 기지국에서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할 때 기존 기지국과 연결되었던 채널을 끊은 후 새로운 기지국의 새로운 채널로 연결되는 핸드 오프
4. 무선전화
: 제1세대 ~ 제2.5세대 이동통신 까지 CT-1, CT-2, PHS, DECT 순으로 발전
- CT-1 [ Cordless Telephone-1 ]
: 무선 전화 방식,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무선 전화기에서 사용
: 46 ~ 49 Hz 대역폭 사용, 통화 범위 50~100M, 사용 범위 제한, 핸드 오프 X
- CT-2 [ Cordless Telephone-2 ]
: 가정 내 [ 무선전화기 ] , 가정 외 [ 휴대용 전화기, 사무실 등 ] 디지털 방식
: 통화 범위 [ 40 ~ 200M ] , 수용 용량 [ 5000명/km ], FDMA 방식, 대역폭 100KHz
- PHS [ Personal Handphone System ]
: 가격이 저렴한 대중적인 무선통신 서비스
: TDMA 방식 사용,
- DECT [ 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 ]
: 아날로그에 비해 음질이 깨끗하고, 도/감청이 불가능
: 대용량 전화번호 저장,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 [ SMS ]
5.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5.1 아날로그와 디지털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
: 무선 데이터 통신 서비스는 무선 정보 교환 서비스
: 이동국과 기지국 사이에서 896~898MHz 나 936~938MHz의 주파수 대역 사용
: 종류
l 회선교환방식
: 셀룰러 전화기에 특수한 셀룰러 모뎀을 부착해 데이터 송수신
l CDPD [ Cellular Digital Packet Data ]
: 기존 시스템에 별로의 장비 추가해 데이터 패킷 형태로 전송
l CDI [ Cellular Data Incorporated ]
: 셀룰러 주파수 중 사용하지 않는 대역을 활용하여 전송
5.2 TRS [ 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 공용 통신 ]
: 일정 주파수를 독립된 각각의 채널로 묶어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 가능
: 주파수의 활용폭을 극대화, 채널 16개를 5000명이 공유
: 통화 내용 누설, 특수 업무 시 비밀 통화 기능 필요
'정보통신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통신개론9 _ 뉴미디어와 소셜미디어 [미디어와 정보통신 ] (0) | 2020.05.10 |
---|---|
정보통신개론8 _ 무선통신 _ 이동통신 제3~4세대 (0) | 2020.05.08 |
정보통신개론8 _ 무선통신 _ 위성통신~ (0) | 2020.05.08 |
정보통신개론7 : 인터넷 발전 동향 [ XML, AJAX ] (0) | 2020.04.25 |
정보통신개론7 : 인터넷 기반 응용 서비스 (0) | 2020.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