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이동통신

대역확산과 확산코드

공부합시다홍아 2020. 4. 13. 19:16

1.     의미

: 신호를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원래의 신호를 여러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것

 

2.     특징

(1). 광대역 통신 방식의 일종

(2). 보안 특성 우수

(3). 간섭에 강함 : 확산 이득을 얻을 수 있음

(4). 페이딩에 강함 : 주파수대역을 넓게 사용,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얻음

 

* 구분

(1). 직접 대역학산 [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 높은 주파수의 의사 무작위 확산코드를 사용하여 전송, 높은 속도 및 성능

(2).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 [ 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

    : 여러 주파수 사이를 무작위로 호핑하여 전송, 낮은 속도 및 낮은 구현비용

    DSSS방식이 FHSS방식보다 월등한 성능

: 전력효율, 대역폭 효율의 차이를 보인다.

 

 

 

3.    확산코드 [ Spreading Code ]

: 동일한 코드끼리 곱하면 1이 되고 서로 다른 코드끼리 곱하면 0이 되도록 하는 코드로

서 여러 신호가 섞여 있어도 다른 신호는 매우 낮은 전력을 갖는 잡음으로 처리

           (1). 기술적 특징

           : 확산코드가 곱해진 신호는 원래의 정보 신호보다 대역폭이 훨씬 커짐

           : 다중접속 능력

           : 상호상관이 작은 코드를 이용

 

           (2). 확산코드의 주요 용도

           : 대역확산 [ 낮은 밀도를 갖는 광대역 잡음 신호화 ]

           : 채널/사용자의 구분

           : 데이터 암호화등

 

           (3). Walsh Code

           : 파형 채널 코딩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직교성을 높이면서 스크램블함.

           : 하다마드 행렬 ( Hardamad Matrix )을 이용하여 생성

          

           (4). 의사잡음코드 [ PN code, Pseudo random Noise Code ]

           : 송수신 신호를 불규칙한 잡음처럼 보이도록 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