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이론

정보통신개론4 _ 통신 포로토콜 _ 구조_기능요소_표준화

공부합시다홍아 2020. 4. 20. 16:58

통신 프로토콜의 구조

1.     계층형 구조

: 프로토콜의 계층화, 자원의 가상화, 구성요소의 모델화

-      프로토콜의 계층화

: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여러 계층에

 나누어 두고, 각 층마다 독립적으로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것이다.

-      자원의 가상화

: 각 자원에 가상 시스템과 가상 접근 기능을 정의해 두고, 가상자원접근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것

-      구성요소의 모델화

: OSI 참조 모델이 가장 대표적인 예,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다음 네 가지를 정의

 (1). 응용 객체

 (2). 개방형 시스템

 (3). 물리 매체

 (4). 접속

 

2.     계층형 구조의 구성 요소

-      계층[Layer] :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 + 여러 부 시스템 [ Subsystem ]

-      개방형 시스템

: 표준을 기본으로 서로 다른 시스템 사이에서도 통신이 가능

-      부시스템

: 순서를 각각 부여 가능

l  프로토콜 : 계층에는 자신(N)만의 상위 계층(N+1)과 하위 계층(N-1)이 있는데, 자신과 동일한 계층에서 주고 받는                       통신 프로토콜

l  인터페이스 :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을 연결해 주는 기능

l  객체 : 시스템 각 계층의 일을 수행하는 기능 모듈의 실체

l  N-기능 : 객체가 수행하는 해동

l  N-서비스 : 자신의 상위 계층(N+1)에 제공하는 서비스

l  N-서비스 접근점[SAP, Service Access Point] : (N+1)계층이 N계층의 서비스를 받는 접점

l  연결 : N+1 객체와 N객체 사이의 결합 관계로 N+1 객체와 N-SA[를 연결하는 통신로

l  데이터 단위와 프로토콜 제어 정보

-      데이터 단위

-      [ 서비스 데이터 단위(SDU, Service Data Unit)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 Protocol…]

-      N-SDU N+1 객체에서 N객체로 전달하는 데이터의 단위

-      N-PDU N객체 사이에서 N프로토콜로 송수신하는 데이터 단위

-      프로토콜 제어 정보 [ PCI , Protocol Control Information ] : 헤더 정보

 

프로토콜의 기능과 구성요소

1.     로토콜의 기능

ㄱ.   단편화[Fragmentation]와 재합성[Assembly]

: 송신 측에서는 긴 데이터 블록을 손쉽게 전송할 수 있도록 크기가 똑 같은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는 쪼개진 작인 데이터 블록을 재합성하여

 원래의 메시지로 복원하는 기능

ㄴ.   캡슐화 [ Encapsulation ]

: 각 프로토콜에 적합한 데이터 블록을 만들려고 데이터에 정보를 추가하는 것

: Flag, address, 제어정보, 오류 검출 부호 등을 부착하는 기능

ㄷ.   연결 제어 [ Connection Control ]

: 비연결 데이터 전송[데이터그렘]과 연결 위주 데이터 전송을 위한 통신로를

 개설/유지/종결하는 기능

ㄹ.   흐름 제어 [ Flow Control ]

: 데이터양이나 통신속도 등이 수신 측의 처리 능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조정 기능

ㅁ.   오류 제어 [ Error Control ]

: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나 착오 등을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

ㅂ.   순서 결정 [ Sequencing ]

: 연결 위주의 데이터 전송 시 송신 측이 보내는 데이터 단위 순서대로 수신

ㅅ.   주소 설정 [ Mapping ]

: 발생지, 목적지 등의 주소를 명기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기능

ㅇ.   동기화 [ Synchronization ]

: 두 통신 객체의 상태를 일치시키는 기능

ㅈ.   다중화 [ Multiplexing ]

: 하나의 통신로를 여러 개로 나누거나[Upward] 회선 여러 개를 하나의 통신로로

 변환[Downward] 시켜 다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ㄱ.   전송 서비스 [ Transmission Service ]

: 통신 객체를 사용하기 쉽도록 별도로 추가 서비스(패리티 검사, 보안도, 서비스 등급,

 우선순위 등)를 제공하는 기능이다.

 

1.     프로토콜의 구성 요소

-      구문 [ Syntax ]

: 데이터 형식, 부호화, 신호 계층 [ Signal Level ] 으로 구성

-      의미 [ Semantic ]

: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객체 사이의 협조 항목과 오류를 제어하는 항목이 존재

-      타이밍 [ Timing ]

: 접속하는 객체 사이의 통신속도 조정, 메시지 순서 제어

 

프로토콜 표준화와 표준화 기구

1.     표준화

-      표준 [ Standard ]

: 정보통신망과 정보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용하는 주체끼리 합의된 규약 집합

: 공통성, 호환성, 통일성과 같은 요건의 필요

-      표준화 [ Standardization ]

: 표준이 되는 규약의 집합을 정립하는 활동과 조직적인 행위

 

2.     표준화 절차

-      기초와 기반 연구

-      표준 제정

-      표준 구현

-      표준 시험

-      표준 수정과 보완, 폐기

 

1.     표준화 기구

-      ISO [ International Standards Organ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

-      IEC [ International Electrontechnical Commission, 국제전기표준회의 ]

-      ITU-T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s sector ]

      : 국제 전기 통신 연합

-      ANSI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국립표준협회 ]

-      EIA [ Electronic Industries Association, 전자산업협회 ]

-      IEEE [ Institute of Electronical & Electronics Engineers, 전기전자공학자협회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