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세대이동통신11

IMT-2000 IMT-2000 1. 의미 : 범 세계적인 이동통신이 가능케하는 멀티미디어 이동통신 서비스 - 다양한 무선 환경하에서 서비스 / 개인 / 단말의 이동성 제공 - 광대역 통신망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 ITU에서 초기에 ‘FPLMTS’로 명명된, 제 3세대 이동통신 기술 ※ ‘ 2000 ‘ 의 의미 : 2000년경부터 시작 : 2000MHz 근처의 주파수 대역 사용 : 2000 kbps 데이터율 2. IMT 2000의 목표 - 공통 주파수 대역 : 세계 공통 주파수 사용 - 글로벌 로밍 : 세계적 규모의 통신망간 무선접속기술의 단일 표준 지향 : 스마트카드 로밍 및 이기종 무선 접속 표준을 탑재한 듀얼모드 단말기로밍 - 멀티미디어 서비스 : 차량 144kbps, 보행자 384kbps, 실내 2Mb.. 2020. 4. 13.
대역확산과 확산코드 1. 의미 : 신호를 간섭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원래의 신호를 여러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것 2. 특징 (1). 광대역 통신 방식의 일종 (2). 보안 특성 우수 (3). 간섭에 강함 : 확산 이득을 얻을 수 있음 (4). 페이딩에 강함 : 주파수대역을 넓게 사용,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얻음 * 구분 (1). 직접 대역학산 [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 : 높은 주파수의 의사 무작위 확산코드를 사용하여 전송, 높은 속도 및 성능 (2). 주파수 도약 대역확산 [ 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 : 여러 주파수 사이를 무작위로 호핑하여 전송, 낮은 속도 및 낮은 구현비용 ※ DSSS방식이 FHSS방식보다 월등.. 2020. 4. 13.
채널부호화와 인터리빙 1. 채널부호화 ( Channel Coding ) - 정보 데이터에 추가적으로 에러 체크를 위한 비트[ 패리티 비트]를 삽입하여 에러를 찾고 정정하는 것 [ 송신원에서의 신호 변환 과정 ] l 채널 부호화의 목적 : 에러 검출 및 에러 정정 n 전송데이터에 구조화된 잉여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제한된 전력 또는 제한된 대역폭을 갖는 채널 환경에서 비트오류율(BER)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함 l 채널 부호화의 수행 위치 n 채널 상의 에러를 극복하기 위한, 사전 성능 향상 과정 n 순방향 오류제어 ( FEC )의 일종 l 채널 부호화의 작동 원리 n 각 부호어 간에 두드러진 차이를 나게하는 것 [ 해밍거리, 최소거리 ] → 즉, 다른 코드 시퀀스로 오인될 가능성 감소토록 데이터 시퀀스를 확장 변환 n 채널 부호화.. 2020. 4. 13.
A-D변환 A-D 변환 [ Analog to Digital Transformation ] - 아날로그를 디지털화 하는 3단계 과정 :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를 거쳐 이진 디지털 신호 ( Binary Digital Signal )로 변환시키는 과정 1. 표본화 ( Sampling ) : 연속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이산적인 신호로 만드는 과정 2. 양자화 ( Quantization ) : 아날로그 신호의 세기를 디지털 신호의 세기로 만드는 과정 3. 부호화 ( Coding ) : 디지털 신호의 세기를 디지털 부호로 만드는 과정 l A-D변환 및 D-A 변환의 핵심 이론 - Nyquist 표본화 정리 [ Sampling Theorem ] : 표본화된 신호에서 원래의 신호를 왜곡이 없이 복원하기 위한, 신호의 대역제한 주.. 2020. 4. 13.
가입자위치등록기 [ VLR ] 와 홈위치등록기 [HLR ] 1. 가입자 위치 등록기 (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 : 교환기 영역에서 임시적으로 단말기를 관리하기 위해 임시번호를 부여하여 가입자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 가입자 번호, 단말기 번호, Rooting 번호 등을 관리 ] l 주요 역할 - 가입자가 현재 이동해 있는 MSC 영역의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관리 → Hand-off 처리, 위치 등록 및 삭제, 단말기 탐색, 가입자 추적 등 - 임시번호 ( TMSI,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를 부여 - 단말기가 발신 전화 시 HLR을 이용하지 않으므로 통화량을 감소 2. 홈 위치 등록기 ( HLR, Home Location Register ) : 가입자의 번호, 위치, 부가서비.. 2020. 4. 13.
기지국 (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 1. 기지국 (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 : 무선통신의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 설비이다. l 기본 기능 - 이동단말기와 교환국을 연결 ( 기지국 제어기를 통해 ) - 이동단말기의 위치를 확인 교환국에 통보 - 이동단말기가 통화 중 다른 기지국으로 가면 연결하여 계속 통화유지(Handoff) l 기본 구성 [ 안테나 + 무선처리부(RF대역) + 디지털처리부(기저대역) ] - 기지국 제어기 : 기지국의 신호 처리 제어 - 출력 증폭기 (PA, Power Amplifier) : 기지국 송신 신호를 증폭 - Combiner : 증폭된 여러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전송하기 위해 결합시키는 기능 - Filter : 서비스에 사용하는 주파수 이외의 불필요한.. 2020. 4. 13.
전력제어(Power control) 과 Diversity ( 다이버시티 ) 1. 전력 제어 ( Power Control ) : 단말이 기지국 가까이 가면 출력을 낮추고 멀리 가면 출력을 높여 조정하는 것 : 한 기지국 내 각 이동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전력이 거리에 무관하게 동일 신호를 유지하는 것 l 아날로그 : 4dB 간격으로 7단계로 전파세기 조정 l 디지털 : CDMA 시스템은 0.25/0.5/1dB 간격으로 80dB 범위로 조정 : GSM 시스템은 2dB 간격으로 16단계로 조정 - 전력 제어의 목적 : 기지국 통화용량의 극대화 : 단말기 배터리 수명 시간 연장 : 셀 내 모든 무선 노드에 균일한 통신 품질 유지 - 전력 제어 방법 [ 링크 방향에 따른 구분 ] n 역방향 (상향 링크) 전력제어 n 순방향 (하향 링크) 전력제어 2. 다이버시티 [ Divers.. 2020. 4. 13.
페이딩 , 도플러 효과 페이딩 [ Fading ] : 송수신 지점간 여러 경로의 신호가 합쳐져 신호세기가 수시로 변하는 특성 - 빠른 페이딩 [ Fast fading / short term Fading ] : 다중 경로 전파에 의해 발생 [ Time dispersion 발생 ] - 느린 페이딩 [ Slow fading / Long term Fading ] : 거리에 따라 신호감쇠로 발생 * 그림자 페이딩, 선택적 페이딩 이 존재한다. 도플러효과 [ Doppler Effect ] : 송신점의 주파수와 수신점의 주파수는 정지상태에서 동일하다가 이동 시 주파수가 달라지는 현상 : 주파수의 천이 및 흩어짐과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 : 이동국의 움직임으로 인한 전파의 감쇄(Delay spread)를 도플러효과라 한다. > 도플러 효과는.. 2020. 4. 13.
차세대 이동통신 : 주파수란? 주파수 [ Frequency ] : 1초동안 진동한 횟 수 : 주기적인 현상이 단위 시간동안 몇 번 일어났는지를 뜻한다. [ 단위 Hz : ( 1Hz = 1초에 1번 주기적인 현상이 일어난 것) - Hz 이외에도 Rpm, rad/s, BPM 등이 있다. 주파수의 분류 2020. 4. 13.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징 1. 등록 [ Registration ] : 이동 전화 가입자가 네트워크에 장비의 번호와 위치 등을 저장하는 기능 : 위치등록 및 번호등록을 하면 단말기가 이동 시에도 위치와 번호를 파악 가능 - 등록 주요 방법 구분 (1). 영역 기준 위치 등록 : 이동국이 다른 위치영역으로 이동시 마다 위치등록 하는 방법 (2). 전원공급 / 전원차단 위치등록 : 이동국이 전원을 끄거나 켤 때 위치등록 하는 방법 (3). 이동 기준 위치등록 : 일정 개수의 Cell 진입 때 마다 위치등록 (4). 시간 기준 위치등록 : 무조건 일정 시간 마다 위치등록 하는 방법 (5). 묵시적 위치등록 : 착신 신호 및 발신 신호 발생 시 위치 등록 2. 로밍 [ Roaming ] : 가입자가 이동( 기지국 영역 밖 )하여도 전화를.. 2020. 3.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