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과 입력 함수 : input
연산자 연산자 연산자의 종류로는 산술연산자, 대입연산자, 비교연산자, 논리연산자가 있습니다. 산술논산자 산술논산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학적인 기호로 생각하면 된다. + , - , *, /, //, %, ** + 는 덧셈 hong-study.tistory.com 문자열의 연산 Python은 문자열의 덧셈과 곱셈 연산을 지원합니다. 연결 방법은 + 와 * 를 이용 + : 문자열과 문자열간의 결합 * : 문자열과 그 수만큼 반복 ( 단, 실수나 같은 문자열끼리는 곱하기 불가 ) 예1. 문자열 결합 a = "안녕" b = "하세요" print(a+b) 결과 예2. 문자열 곱 a = 'winner winner chichen dinner!!! ' print(a*3) 결과 자료형의 연산 서로 다른 데이터 간의 연..
2023. 10. 18.
1~100범위 안에 가장 큰 소수 구하기
소수는 자신보다 작은 두 개의 자연수를 곱하여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5는 1×5 또는 5×1로 수를 곱한 결과를 적는 유일한 방법이 그 수 자신을 포함하기 때문에 5는 소수이다. 그러나 6은 자신보다 작은 두 숫자(2×3)의 곱이므로 소수가 아닌데, 이렇듯 1보다 큰 자연수 중 소수가 아닌 것은 합성수라고 한다. 1과 그 수 자신 이외의 자연수로는 나눌 수 없는 자연수로 정의하기도 한다. 문제의 코드는 소수인지 판별하기 위해 제곱근까지의 숫자로 나누어 떨어지는 지 검사한다. 제곱근까지의 수 중 한 개의 수에 대해서라도 나누어 떨어지면 소수가 아니다. 예를 들어 25는 2,3,4,5로 나누었을 때 5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소수가 아니고, 41은 2,3,4,5,6으로 나누어도 한 ..
2020. 10. 20.
실행 클래스 내부에 메소드 정의
코드 1 public class Problem{ 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 int a,b,c; 4 a=10, b=20; 5 c= prnt(a,b); 6 System.out.printf("a=%d, b=%d, c=%d", a,b,c); 7 } 8 static int prnt(int x, int y){ 9 int z; 10 if(x==y) 11 z = x+y; 12 else 13 z = x-y; 14 return(z); 15 } 16 } 결과 a = 10 , b = 20, c = -10 설명 5열 : 정수형 a,b를 인수로 하여 prnt() 메소드를 호출한 결과를 c에 저장한다. 8열 : 실행 클래스 안에 메소드를 정의할 때 static 변수를 사용 - i..
2020.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