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80

2-1 현행시스템과 개발 기술 환경 파악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새로 개발하려는 시스템의 개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기 위해 현행 시스템의 구성과 제공 기능, 시스템 간의 전달 정보, 사용되는 기술 요소,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그리고 네트워크의 구성 등을 파악한다. 1단계 2단계 3단계 ⊙ 시스템 구성 파악 ⊙ 시스템 기능 파악 ⊙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 ⊙ 아키텍처 구성 파악 ⊙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 ⊙ 하드웨어 구성 파악 ⊙ 네트워크 구성 파악 1단계 시스템 구성 파악 현행 시스템의 구성은 조직의 주요 없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 업무로 구분하여 기술한다. - 조직 내에 있는 모든 정보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각 업무에 속하는 단위 업무 정보시스템들의 명칭, 주요 기능들을 명시한다. 시스템 기능 파악 현행 시스템.. 2020. 10. 20.
선택 정렬 알고리즘 배열에 저장된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후 출력하는 프로그램 선택 정렬 알고리즘은 첫 번째 자료를 두 번째 자료로부터 마지막 자료까지 차례대로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찾아 첫 번째에 놓고, 두 번째 자료를 세 번째 자료부터 마지막 자료까지와 차례대로 비교하여 그 중 가장 작은 값을 찾아 두 번째 위치에 놓는 과정을 반복하며 정렬을 수행 1회전 수행 후 가장 작은 값의 자료가 맨 앞에 오게 되므로 그 다음 회전에서는 두 번째 자료를 가지고 비교한다. 코드 1 public class Test{ 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 int E[] = { 95, 75, 85, 100, 50 }; 4 int i =0; 5 int Temp = 0; 6 do{ 7 int j.. 2020. 10. 20.
1~100범위 안에 가장 큰 소수 구하기 소수는 자신보다 작은 두 개의 자연수를 곱하여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5는 1×5 또는 5×1로 수를 곱한 결과를 적는 유일한 방법이 그 수 자신을 포함하기 때문에 5는 소수이다. 그러나 6은 자신보다 작은 두 숫자(2×3)의 곱이므로 소수가 아닌데, 이렇듯 1보다 큰 자연수 중 소수가 아닌 것은 합성수라고 한다. 1과 그 수 자신 이외의 자연수로는 나눌 수 없는 자연수로 정의하기도 한다. 문제의 코드는 소수인지 판별하기 위해 제곱근까지의 숫자로 나누어 떨어지는 지 검사한다. 제곱근까지의 수 중 한 개의 수에 대해서라도 나누어 떨어지면 소수가 아니다. 예를 들어 25는 2,3,4,5로 나누었을 때 5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소수가 아니고, 41은 2,3,4,5,6으로 나누어도 한 .. 2020. 10. 20.
push, pop 코드 1 public class P{ 2 static int Stack[] new int[5]; 3 static int Top = -1; 4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5 push(100); 6 push(110); 7 push(120); 8 pop(); 9 push(130); 10 push(140); 11 pop(); 12 } 13 static void push(int i){ 14 Top++; 15 if(Top >= 5) 16 System.out.printf("overflow"); 17 else 18 Stack[Top] = i; 19 } 20 static void pop(){ 21 if(Top < 0) 22 System.out.printf("underflow".. 2020. 10. 20.
외부클래스 코드 1 class Inclass{ 2 int a,b,c; 3 } 4 public class Problem{ 5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6 Inclass V = new Inclass(); 7 V.a = 10; 8 V.b = 20; 9 prnt(V); 10 System.out.printf("a=%d, b=%d, c=%d\n", V.a, V.b, V.c); 11 } 12 static void prnt(Inclass V){ 13 V.a += 30; 14 V.b -= 30; 15 if(V.a 2020. 10. 20.
실행 클래스 내부에 메소드 정의 코드 1 public class Problem{ 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 int a,b,c; 4 a=10, b=20; 5 c= prnt(a,b); 6 System.out.printf("a=%d, b=%d, c=%d", a,b,c); 7 } 8 static int prnt(int x, int y){ 9 int z; 10 if(x==y) 11 z = x+y; 12 else 13 z = x-y; 14 return(z); 15 } 16 } 결과 a = 10 , b = 20, c = -10 설명 5열 : 정수형 a,b를 인수로 하여 prnt() 메소드를 호출한 결과를 c에 저장한다. 8열 : 실행 클래스 안에 메소드를 정의할 때 static 변수를 사용 - i.. 2020. 10. 20.
거꾸로 출력하기 1 public class Problem{ 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 String str = "Information!"; 4 int n = str.length(); 5 char[] st = new char(n); 6 n--; 7 for(int k=n; k>=0; k--){ 8 st[n-k] = str.charAt(k); 9 } 10 for(char c:st){ 11 System.out.printf("%c", c); 12 } 13 } 14 } 문자열은 String 전역 객체를 직접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3열 : String str은 Information! 이라는 문자열을 저장 4열 : 문자열 변수 str의 크기인 12를 정수형 변수 n의 초기값으.. 2020. 10. 19.
1-8. 스크립트 언어와 선언형 언어, 예외처리 스크립트 언어(Script Language) 스크립트 언어는 HTML 문서 안에 직접 프로그래밍 언어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 기계어로 컴파일되지 않고 별도의 번역기가 소스를 분석하여 동작하게 하는 언어 - 게시판 입력, 상품 검색, 회원 가입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처리 작업을 수행 -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서 해설되어 실행되는 클리이언트용 스크립트 언어와 서버에서 해설되어 실행된 후 결과만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서버용 스크립트 언어가 있다. ◎ 서버용 스크립트 언어 ( Server Script Language ) : ASP, JSP, PHP, Python ◎ 클라이언트용 스크립트 언어 ( Client Script Language ) : 자바 스크립트 ( Java Script ) 스크립트 언어의 장단점.. 2020. 10. 18.
1-7.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는 일련의 처리 절차를 정해진 문법에 따라 순서대로 기술해 나가는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정해진 순서에 따른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 프로그래밍이 실행되는 절차를 중요시 한다. - 데이터를 중심으로 프로시저를 구현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 유기적이라는 뜻은 프로그램 하나하나가 상호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고만 이해하기만 하면 될꺼같아요. - 자연어에 가까운 단어와 문장으로 구성된다. - 과학 계산이나 하드웨어 제어에 주로 사용된다.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의 장단점 장점 단점 컴퓨터의 처리 구조와 유사 → 빠른 실행 속도 프로그램 분석의 어려움 같은 코드를 복사하지 않고 다른 위치에서 호출하여 사용 가능 유지보수의 어려움 모듈.. 2020. 10. 18.
1-6. Python 의 기초와 라이브러리 Python의 기본 문법 - 변수의 자료형에 대한 선언이 없다. - 문장의 끝을 의미하는 세미콜론(;)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 변수에 연속하여 값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 if나 for와 같이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명령문을 작성할 때 코드 블ㄹ록은 콜론(:)과 여백으로 구분 - 여백은 일반적으로 4칸 또는 한 개의 탭만큼 띄워야하며, 같은 수준의 코드들은 반드시 동일한 여백을 가져야 한다. Python의 데이터 입/출력 함수 input() 함수 python의 표준 입력함수로, 키보드로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 입력되는 값은 문자열로 취급되어 저장 변수 = input(출력문자) 변수1, 변수2,,,,,변수n = input(출력문자).split(분리문자) printf()함수 printf(출력값.. 2020. 10.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