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4

거꾸로 출력하기 1 public class Problem{ 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3 String str = "Information!"; 4 int n = str.length(); 5 char[] st = new char(n); 6 n--; 7 for(int k=n; k>=0; k--){ 8 st[n-k] = str.charAt(k); 9 } 10 for(char c:st){ 11 System.out.printf("%c", c); 12 } 13 } 14 } 문자열은 String 전역 객체를 직접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습니다. 3열 : String str은 Information! 이라는 문자열을 저장 4열 : 문자열 변수 str의 크기인 12를 정수형 변수 n의 초기값으.. 2020. 10. 19.
1-8. 스크립트 언어와 선언형 언어, 예외처리 스크립트 언어(Script Language) 스크립트 언어는 HTML 문서 안에 직접 프로그래밍 언어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 기계어로 컴파일되지 않고 별도의 번역기가 소스를 분석하여 동작하게 하는 언어 - 게시판 입력, 상품 검색, 회원 가입 등과 같은 데이터베이스 처리 작업을 수행 - 클라이언트의 웹 브라우저에서 해설되어 실행되는 클리이언트용 스크립트 언어와 서버에서 해설되어 실행된 후 결과만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서버용 스크립트 언어가 있다. ◎ 서버용 스크립트 언어 ( Server Script Language ) : ASP, JSP, PHP, Python ◎ 클라이언트용 스크립트 언어 ( Client Script Language ) : 자바 스크립트 ( Java Script ) 스크립트 언어의 장단점.. 2020. 10. 18.
1-7.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는 일련의 처리 절차를 정해진 문법에 따라 순서대로 기술해 나가는 것이다. 쉽게 말하자면 정해진 순서에 따른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편하다. - 프로그래밍이 실행되는 절차를 중요시 한다. - 데이터를 중심으로 프로시저를 구현하며, 프로그램 전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 유기적이라는 뜻은 프로그램 하나하나가 상호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고만 이해하기만 하면 될꺼같아요. - 자연어에 가까운 단어와 문장으로 구성된다. - 과학 계산이나 하드웨어 제어에 주로 사용된다. 절차적 프로그래밍 언어의 장단점 장점 단점 컴퓨터의 처리 구조와 유사 → 빠른 실행 속도 프로그램 분석의 어려움 같은 코드를 복사하지 않고 다른 위치에서 호출하여 사용 가능 유지보수의 어려움 모듈.. 2020. 10. 18.
1-6. Python 의 기초와 라이브러리 Python의 기본 문법 - 변수의 자료형에 대한 선언이 없다. - 문장의 끝을 의미하는 세미콜론(;)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 변수에 연속하여 값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 if나 for와 같이 코드 블록을 포함하는 명령문을 작성할 때 코드 블ㄹ록은 콜론(:)과 여백으로 구분 - 여백은 일반적으로 4칸 또는 한 개의 탭만큼 띄워야하며, 같은 수준의 코드들은 반드시 동일한 여백을 가져야 한다. Python의 데이터 입/출력 함수 input() 함수 python의 표준 입력함수로, 키보드로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 입력되는 값은 문자열로 취급되어 저장 변수 = input(출력문자) 변수1, 변수2,,,,,변수n = input(출력문자).split(분리문자) printf()함수 printf(출력값.. 2020. 10. 17.
1-5. 포인터와 사용자정의함수 포인터와 포인터변수 포인터는 변수의 주소를 말하며, 주소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포인터 변수를 선언 시 자료의 형을 먼저 쓰고 변수명 앞에 간접 연산자 *를 붙인다. - 포인터 변수에 주소를 저장하기 위해 변수의 주소를 알아낼 때는 변수 앞에 번지 연산자 &를 붙인다. - 실행문에서 포인터 변수에 간접연산자 *를 부팅면 해당 포인터 변수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말한다. - 포인터 변수는 필요에 의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메모리 영역인 힙 영역에 접근하는 동적 변수이다. ※ 메모리 영역 1. 코드 영역 : 실행할 프로그램의 코드가 저장됨 2. 데이터 영역 : 전역 변수와 정적 변수가 저장됨 3. 힙 영역 : 필요에 의해 동적으로 할당되는 영역 4. 스택 영역 : 함수의 매개 변수와 지역 변수가 .. 2020. 10. 17.
1-4. 배열과 문자열 배열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유형을 여러 개 사용해야 할 경우 이를 손쉽게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변수들을 조합해서 하나의 이름으로 정의해 사용하는 것 - 배열은 하나의 이름으로 여러 기억장소를 가리킨디ㅏ. 배열에서 개별적인 요소들의 위치는 첨자를 이용하여 지정 - 배열은 변수명 뒤에 대괄호[ ]를 붙이고 그 안에 사용할 개수를 지정 - 배열의 위치는 0부터 시작된다. - 배열은 행 우선으로 데이터가 기억장소에 할당된다. 1차원 배열 1차원 배열은 변수들을 일직선상의 개념으로 조합한 배열이다. 배열은 선언되는 형식에 따라 1차원 배열, 2차원 배열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다차원 배열로도 선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해하기가 쉬운 2차원 배열까지가 많이 사용됩니다. 자료형 변수명[개수]; ◎ n.. 2020. 10. 17.
1-3. 제어문과 반복문 1. 제어문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가 서술된 순서에 따라 무조건 위에서 아래로 실행되는데, 조건을 지정해서 진행 순서를 변경 가능하다. 이렇게 프로그램의 순서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문을 제어문이라고 한다. - 제어문 종류 : if문, 다중if문, switch문, goto, 반복문 등이 있다. 단순 if문 if문은 조건에 따라서 실행할 문장을 달리하는 제어문이며, 단순 if문은 조건이 한 개 일 때 사용하는 제어문이다. - 조건이 참일 때만 실행할 문장을 지정할 수도 있고, 참과 거짓에 대해 각각 다른 실행문을 지정할 수도 있다. if(조건)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else 실행할 문장3; #includd main() { int a=10, b=20, plus, minus; if(a>b) pl.. 2020. 10. 17.
1-2. 데이터입출력과 연산자 1. 데이터 입출력 표준 입/출력 함수(Input-Output Functions)란 키보드로 입력받아 화면으로 출력할 때 사용하는 함수 대표적으로 scanf(), printf(), getchar(), gets(), putchar(), puts()등이 있다. scanf() 함수 C언어의 표준 입력 함수, 키보드로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 scanf(서식문자열, 변수의 주소) * 서식 문자열 : 입력받을 데이터의 자료형을 지정 * 변수의 주소 : 데이터를 입력받을 변수 , 주소연산자 &를 붙인다. 특징 - 입력받을 데이터의 자료형, 자릿수 등을 지정 - 한 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 서식 문자열과 변수의 자료형은 일치해야 한다. 서식 문자열 printf()함수로 출력할 때도 동일.. 2020. 10. 17.
1-1. 데이터타입과 변수 1. 데이터 타입(Data Type)1. 데이터타입(Data Type) 변수(Variable)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문자형, 정수형, 실수형 등 어떤 형식의 값을 저장할 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 데이터타입은 운영체제(OS)에 따라 기억 범위와 크기가 조금씩 다르다. 유형 기능 예 정수 타입(Integer Type) 정수, 즉 소수점이 없는 숫자 1, -1, 10, -100 부동 소수점 타입(Floating Poin Type) 소수점 이하가 있는 실수를 저장 0.123x10, -1.6x2.31 문자 타입(Character Type) 한 문자 저장시 사용 작은 따음표('')안에 사용 'A', 'a', '1', '*' 문자열 타입(Ch.. 2020. 10. 17.
프로그래머스 Level 1 : 가운데 글자 가져오기 namespace 프로그래머스__가운데글자가져오기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 = "abcd"; string answer = ""; if (s.Length % 2 == 0) { answer = s[(s.Length / 2) - 1].ToString() + s[s.Length / 2].ToString(); } else { answer = s[s.Length / 2].ToString(); } Console.WriteLine(answer); } } } 2020. 7.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