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4

알고리즘 : 병렬 정렬 알고리즘 병렬 정렬은 단순하게 두 개의 배열을 합치는 것이다. 오름차순으로 나열된 두 그룹의 데이터를 한 그룹의 데이터로 병합합니다. 데이터 1,2 중 어느 한 쪽이 끝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 i와j를 비교하여 작은쪽을 k에 복사하고 작은 쪽 번호를 +1한다. 모두 끝까지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여 진행한다. 2020. 4. 23.
알고리즘 : 순위 설정 , 선택 정렬, 이진검색 순위 설정 - 지정한 범위 내에서 순위를 구하는 논리 - 순위 배열을 1등으로 초기한 이후 기준점수를 두어 기준점수보다 작거나 클시 순위 변동 [ 1씩 증가 ] 선택 정렬 알고리즘 : 전체 원소들 중 기준 원소와 값을 하나씩 비교하며 자리를 교체하는 알고리즘 [ 오름차순 기준 ] 1. 전체 원소 중 가장 작은 원소를 찾아 선택하여 첫번 째 원소와 자리를 교환한다. 2. 그 다음 두 번째로 작은 원소를 찾아 자리를 교환한다. 3. 세 번째 등 계속 작은 원소를 찾아 자리를 교환한 후 이 과정을 반복한 후 결과물을 출력한다. 이진 검색 알고리즘 : 정렬된 data를 반으로 나누어 검색하고자하는 KEY가 포함된 부분을 결정한 후 이후 또 반으로 나눠 결정하는 것을 반복하여 Key를 찾는 알고리즘 이진 검색 알.. 2020. 4. 23.
알고리즘 : Near 값, 최빈 값, 간단한 수열 Near 값 주어진 수 중에 지정한 수와 가장 가까운 값을 찾는 알고리즘 최빈 값 [ 주어진 수 중에 빈도 수가 가장 많은 값 찾는 알고리즘 ] - 주어진 값 1~5 로 설정 - index 배열 안에 0~5까지 6개의 인덱스 카운터 - 최빈 값 [ MODE ] 는 데이터의 인덱스 카운트[count] 값의 최댓값 [ MAX ] 간단한 수열 알고리즘 [ 1-2+3-4+5-6............+99-100 의 값을 구하는 알고리즘 ] 홀수는 + , 짝수는 - - 1~100까지 반복하는 반복문 작성 - 조건문을 통해 홀수 일 떄의 결과 값과 else{}를 통해 짝수 일 떄의 결과 값을 설정 2020. 4. 23.
정보통신개론7 : 계층 별 프로토콜 인터넷 계층별 프로토콜 1. 네트워크 접근 계층 프로토콜 : 네트워크 매체와 인터페이스에서 하드웨어의 세부사항을 처리하며, 상위 계층의 데이터를 수용하여 연결된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 → Protocol : Ethernet, Token Ring, X.25, FDDI [ Fiber Distributed Digital Interface ] 2. 인터넷 계층 프로토콜 : 발신지에서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 : 주소지정, 패키징, 라우팅 등의 기능 제공 [ 전달되는 데이터 : 데이터그램 ] - 신뢰성 없고, 오류 검사나 추적 X → Protocol : IP, ICMP, IGMP, ARP, RARP 2.1 IP [ Internet Protocol ] : 다양한 네트워크로 구상된 인터넷을 이용해 발신지에서 목적.. 2020. 4. 23.
정보통신개론7 : 인터넷, 도메인 Part 7 . 인터넷 인터넷의 개요 1. Inter Networking and Definition of Internet - Inter Network : LAN이나 WAN 등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여 만든 복잡한 네트워크 - Inter Networking : Inter Network를 연결하는 과정이나 방법 : 하나의 통신 기준을 바탕으로 종류가 다른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 :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기술이 필요 : 관련 장비 [ 라우터, 리피터, 브리지, 게이트웨이 등 ] - Internet : 전 세계에 널리 퍼져있는 근거리 통신망이나 원거리 통신망으로 구성된 네트워크 2. Internet Protocol and Address - Internet Protocol n TCP/IP : 가정.. 2020. 4. 23.
알고리즘 : 최댓값(MAX), 최솟값(MIN) 주어진 값에서 최솟값과 최댓값을 찾는 알고리즘 2020. 4. 22.
알고리즘 : 평균 알고리즘 [ AVG ] 80점 이상 95점 이하인 자료의 평균을 구하는 알고리즘 2020. 4. 22.
알고리즘 : 카운트(COUNT) 알고리즘 카운트 알고리즘 지정된 변수 중 짝수를 골라내는 알고리즘 2020. 4. 22.
알고리즘 정의 및 합계(SUM) 알고리즘 알고리즘 ( Algorithm ) : 문제 해결 능력 - 주어진 조건을 사용해서 문제를 해결 1. 합계 ( SUM ) 2. 카운트 ( COUNT ) 3. 평균 ( AVG ) 4. 최댓값 ( MAX ) 5. 최솟값 ( MIN ) 6. 근사값 ( NEAR ) 7. 최빈값 ( MODE ) 8. 순위( RANK ) 9. 정렬 ( SORT ) 10. 병합 ( MERGE ) 11. 검색 ( SEARCH ) 12. 그룹 ( GROUP ) SUM 합계 알고리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UM 알고르즘 [ 1~ 100까지.. 2020. 4. 22.
정보통신개론6 : ATM, SDH, SONET ATM - B-ISDN을 구현하기 위해서 ITU-T에서 선택한 전송[교환] 기술- - 물리적 전송망 [ SDH, SONET ] → ATM에서 사용하는 다중화 기술 - ATM 교환방식 : 실시간 이용 및 고속 처리 [ 패킷 교환 방식의 유연성 + 정보의 다량 처리 능력 ] : 방 자원이 비어 있을 때 어느 서비스라도 망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 다양한 대역폭을 갖는 서비스를 처리할 수 있다. : 다양한 종류의 트래픽을 통합할 수 있다. ATM 셀의 구조 [ 헤더 48byte ] [ 데이터 5byte ] = [ 전체 53byte ] : UNI셀[User Network Interface], NNI셀 [ Node Network Interface ] n 셀의 헤더 : 일반 흐름 제어 [ GFC ], 가상 경로.. 2020.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