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4

정보통신개론6 : 광대역 종합 정보통신망, 미래 통신망 서비스 광대역 종합 정보통신망 [ B-ISDN ] - 협대역 종합 정보통신망 [ N-ISDN ] : 여러 서비스를 통합한 디지털 통신망, 기존 통신망에 디지털 기능 추가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한 회선으로 서비스하는 방식 - 통신 용량 [ 전송 용량 ] : 전송채널을 이용해 정보를 오류 없이 전송하는 최대 속도 - 대역폭 : 어떤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의 범위 광대역 종합 정보통신망 [ B-ISDN, Broadband-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 고속의 광역 서비스와 멀티 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고속 전송 기술, 교환 방식 기술, 신호 기술, 반도체 기술, 영상 기술 등을 통합하여 서비스하는 통신망 - N-ISDN 과 B-ISDN의 신호방식과 통신망 n N-I.. 2020. 4. 22.
정보통신개론6 : 고속 광역 통신망 서비스 고속 광역 통신망 서비스 1. DQDB [ Distributed Queue Dual Bus ] : 도시망[MAN]에서 사용하는 IEEE80 계열 표준 프로토콜이다. : 논리적 이중 버스로 구성해 데이터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전송한다. - DQDB 의 물리 계층 : 물리 계층 수렴 프로토콜 [ PLCP, Physical Layer Convergence Protocol ] 제공 : 물리 계층 수렴 기능을 지원하며, 상위 계층인 DQDB MAC 계층이 동작하도록 지원 - DQDB MAC 계층 : 공통 기능[CF, Common Function], 접근 제어 기능[ACF, Access Control Function], 수렴기능[MCF, MAC Convergence Function] 이 있다. n 공통 기능 : D.. 2020. 4. 22.
정보통신개론6 : 광역 통신망 서비스, 협대역 광역 정보통신망 광역 통신망 서비스 1. 공중 전화망 [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 사용자를 전자교환기로 연결해 전화 등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 - 전송 원리 : 전기적 진동으로 정보를 교환하는 전화기를 매개체로 정보 교환 n 송신 정보 – 음성/전기변환 – 전송매체/네트워크 – 전기/음성정보 – 수신 정보 - 구성 요소 n 전송 장치 l 가입자 선로 [ 전화기를 시내 교환기로 연결하는 전송 설비 ] l 중계선 n 시내중계선 [ 시내 교환기 간/ 시내 + 시외 간 연결 ] n 시외중계선 [ 시외교환기 간 연결 ] n 교환 장치 l 시내 교환기 [ 동일 교환기나 다른 교환기로 교환 ] l 시외 교환기 [ 시내중계선과 시외중계선 사이 연결/교환 ] l 중계 교환기.. 2020. 4. 21.
정보통신개론6 : 광역 통신망과 고속 광역 통신마 1. 광역 통신망 [ WAN , Wide Area Network ] : 도시와 도시 간, 국가와 국가 간 등 원격지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망 : 각 노드 연결 시 Point to Point 방식을 사용한다. : 광역 통신망 [ 공중 교환 전화망(PSTN), X.25,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ISDN) ] 2. 고속 광역 통신망 [ = 도시망(MAN) ] : 광역 통신망에서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디지털로 처리해 주는 고속의 정보통신망이다. - DQDB, 프레임 릴레이, SMDS, B-ISDN 3. 미래의 통신망 - 3.1 광대역 통합 네트워크 ( 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 통신과 방송, 인터넷 등 각종 서비스를 통합, 다양한 응용 서비스.. 2020. 4. 21.
정보통신개론5 _ 근거리 통신망3 1. LAN Protocol : OSI 7계층 중 1,2,3 계층이 필요하다. : 경로 선정,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의 기능은 필요 없으니 장치가 LAN에 접근할 때는 네트워크에 접근하는 것처럼 보이므로 일부 기능을 사용하기도 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 서브 계층인 [ 논리 연결 제어, LLC , Logical Link Control ] 과 [ 매체 접근 제어, MAC, Medium Access Control ] 프로토콜이 서로 대응 - 논리 연결 제어 [ LLC ] : 매체 접근 제어로 확보한 채널 송신권을 사용하여 흐름 제어, 순서화, ACK, NAK, 연결 관리 절차 등의 역할 담당 - 매체 접근 제어 [ MAC ] : 공유된 매체의 접속을 규제하며, 모든 노드에 패킷을 전송할 기회를 제공하는 역.. 2020. 4. 20.
정보통신개론5 _ 근거리통신망2 1. 근거리 통신망의 정의와 특징 - 근거리 통신망 [ LAN, Local Area Network ] :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각종 기기들을 연결하여 빠른 속도로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함 - 근거리 통신망의 효과 l 자원 공유, 부하 공유, 신뢰성 개선, 통제관리 용이 2. 근거리 통신망의 구성 요소 - LAN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 l 하드웨어 ㄱ. 컴퓨터 [ Server + Client ] ㄴ. Network Interface Card ㄷ. 신호 변환 장치 : Tranceiver ㄹ. 접속 케이블 : Twisted Pair, 동축케이블, UTP, 광섬유케이블 l N Base(Broad) M : N [ 전송속도] M[전송거리] Base[전송방식] : 10Base-5 : 전송 속도 [ 10Mbps .. 2020. 4. 20.
정보통신개론5 _ 근거리통신망 1 PART. 5 근거리 통신망 정보통신망의 이해 1. 정보통신망의 개념 - 정보통신망 [ Network ] : 정보통신 시스템에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장비를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이다. : 하나의 회선에 시스템을 연결하거나 몇 개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며, 통신 비용을 절감하고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게 주요 목적이다. l 정보통신망의 예 (1). 컴퓨터 시스템 : 노드 (2). 서로 연결한 것 : 링크 (3). 메시지가 링크를 따라 전송되는 길 : 경로 2. 정보통신망의 필요성 : 통신 비용을 절감하고 효율적으로 전송하려면 하나의 회선에 여러 시스템을 연결하거나 몇 개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식을 사용 3. 정보통신망의 구성요소 : 가입자의 호[Call]를 감지하여 원하는 .. 2020. 4. 20.
정보통신개론4 _ 통신 포로토콜 _ 구조_기능요소_표준화 통신 프로토콜의 구조 1. 계층형 구조 : 프로토콜의 계층화, 자원의 가상화, 구성요소의 모델화 - 프로토콜의 계층화 : 미래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통신을 제어하는 기능을 여러 계층에 나누어 두고, 각 층마다 독립적으로 프로토콜을 적용하는 것이다. - 자원의 가상화 : 각 자원에 가상 시스템과 가상 접근 기능을 정의해 두고, 가상자원접근 프로토콜을 설정하는 것 - 구성요소의 모델화 : OSI 참조 모델이 가장 대표적인 예, 시스템 사이의 접속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다음 네 가지를 정의 (1). 응용 객체 (2). 개방형 시스템 (3). 물리 매체 (4). 접속 2. 계층형 구조의 구성 요소 - 계층[Layer] : 개방형 시스템[Open System] + 여러 부 시스템 [ Subsy.. 2020. 4. 20.
정보통신개론 4 _ 통신 프로토콜 _ Network ~ Application Layer 1. 네트워크 계층 : OSI 참조 모델에서 하위 계층인 3계층 : 통신 노드에서 다양한 경로 설정, 메시지 등을 라우팅, 망 노드 간에 트래픽을 제어하는 역할 : 송신 측과 수신 측 사이에 논리적 링크를 구성하며 상위 계층에서 전달 받은 데이터를 : 패킷으로 구성하여 하위[데이터 링크]계층으로 전달 - 기능 - 경로 배정과 중계[Routing & Relaying] : 통신망 내부에서 경로를 배정하고 중계 - 상호 통신망 연결[Internetworking] : 다양한 통신망 연결에도 본 기능 유지 - 통신망 접속 [Network Connection] : 통신망의 연결 설정하고 종료 - 흐림 제어 [ Flow Control ] : 네트워크 노드 사이에서 트래픽 제어 - 순서 제어 [ Sequence Con.. 2020. 4. 20.
정보통신개론4 _ 통신프로토콜_ 오류제어_ 종류 1.1 오류제어 : 통신회선의 순간적인 절단 현상, 통신회선의 잡음과 감쇄, 혼선, 군 지연,’ 찌그러짐, 펄스성 잡음, 에코 현상, 장치의 기계적/구조적 원인, 전원 중단등 전기적 원인 때문에 방생 n 오류 제어 방식 (1). 오류 무시 (2). 반향 검사 [ 루프 방식 ] : 전송한 데이터와 수신한 데이터를 서로 비교하여 판단하는 방식 (3). 검출 후 재전송[ARQ, Automatic Repeat request] : 오류가 발생하면 수신 측은 송신 측에 오류가 발생한 사실을 알리고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을 재전송할 것을 요구 한다. (4). 전진 오류 수정 [ FEC, Forward Error Correction ] : ARQ방식과 달리 수신 측에서 오류가 있음을 발견하면 해당 오류를 검출할 뿐만 아.. 2020. 4. 19.
반응형